2025강 동호Before This River Becomes an Ocean2024백 승현새 몸과 거푸집2023임 이랑보는 것, 맺히는 것, 남는 것2024구 태승Knock on Wood2023구 태승Twin Fantasy



형식이 곧 내용이 된다.

캔버스 위에 비단을 매고 그 위에 그림을 그린다. 붓질의 방식과 물감의 농도에 따라 물감은 비단과 캔버스, 두 겹의 화면을 오가며 대상을 재현하는 동시에 훼손하거나 그려진 것을 바라보는 것을 방해한다. 물감은 비단에 긁히거나, 통과하거나 캔버스와 비단 사이를 연결하는 상태로 굳어버리기도 한다. 이 그리기 방식은 사진을 참조하며 대상을 쫓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과정이 지날수록 참조한 사진 혹은 대상 모두와 멀어지며, 대상과 내가 만든 붓질의 흔적 사이에 위치한 물리적인 무언가로 남는다. 그리기 이후에는 회화라고 여겨지는 것들의 요소를 일부 제거하거나 제거가 유보된 상태로 작품을 제시한다. 여기서 요소를 일부 제거하는 것은 <Twin Fantasy>와 <켜진 초>에서, 이 둘은 그리기가 완료된 이후 천을 제거하거나 틀을 제거하는 과정을 겪은 후 벽에 걸렸다.

이 작품들에 주로 등장하는 소재인 빛과 눈은 보고 그리는 일의 조건으로 여기고 선택했다. 이 작품들은 얼핏 하나의 평면 이미지로 보이지만, 들여다보면 비단과 캔버스가 만드는 두 겹의 화면이 서로를 보완하며, 둘 사이의 유격이 있다. 이 차이는 회화 작업을 하며 경험하는 그리기 혹은 재현에서의 미끄러짐, 불완전하고 연약한 이미지…등을 은유하는 장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가장 이질적인 것으로 보이는 <켜진 초>는 이 작품들이 놓인 공간에서 다소 어두운 곳, 들어설 때 바로 보이지 않는 곳, 작은 기둥 뒤에 숨겨두었다. 이는 한 발자국 뒤로 떨어져 같은 공간에 있는 다른 작품들을 비추면서 이들이 갖고 있는 연약함이나 불완전함을 은유하는 동시에 촛불이라는 대상이 촉발하는 일종의 시라고 볼 수 있다.



구 태승

*이 일련의 회화 작품들을 모아 붙인 제목 <Twin Fantasy>는 ‘Car Seat Headrest’라는  미국 인디 록밴드의 동명 앨범에서 빌려왔다. 해당 앨범은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쌍둥이를 상정하고 그에게 보내는 일종의 러브레터라고 볼 수 있다.


Form becomes content.

I stretch silk over canvas and paint upon it. Depending on the brushwork and the density of pigment, the paint moves across both layers—the silk and the canvas—at times representing the subject, at others erasing or obscuring it, hindering the act of looking. Sometimes the paint is scratched into the silk, sometimes it seeps through, sometimes it solidifies in a state that connects the space between the two surfaces. While the process begins by referencing photographs, pursuing a given subject, as it progresses, both the reference and the subject slip further away. What remains is a physical trace positioned between the subject and the marks I have made. After painting, I present the work with some elements traditionally considered ‘painterly’ removed or left in a suspended state. The act of removing certain elements can be seen in works such as Twin Fantasy and Lit Candle, where after the painting is finished, the silk or frame is detached before the work is installed on the wall.

The recurring motifs of light and eyes in these works were chosen as fundamental conditions for seeing and painting. While they may first appear as a single flat image, a closer look reveals the two-layered surface created by silk and canvas, each complementing the other with a visible tension between them. This difference is intended as a device to metaphorically evoke the slips, imperfections, and fragile images experienced throughout the process of painting or representation.

The seemingly most disparate work, Lit Candle, was placed in a slightly dark, unexpected spot within the space—hidden behind a small pillar, not immediately visible upon entering. From this subtle distance, it illuminates the other works around it, poetically echoing their fragility and incompleteness, and evoking a kind of poem through the presence of the candle itself.



Ku Taeseung

*The title <Twin Fantasy> for this series of paintings is borrowed from the album of the same name by the American indie rock band Car Seat Headrest. That album can be seen as a kind of love letter addressed to an imaginary, nonexistent twin.

© 2025 Ku Tae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