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설을 하나의 해답을 제공하지 않는 무한한 출구가 있는 공회전으로 이해할 때, 가공된 목재 이미지가 사물성을 획득하고 배반하는 과정은 놀이터의 회전무대에서 뛰어내릴 때와 같다. 역설을 마주한 이후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무대를 돌리는 자도 그것에 탑승한자도 아닌 회전 그 자체다.
보르헤스의 <과학의 정밀성에 대하여>라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1 대 1 축척의 지도처럼, 특정한 대상에 일치하려 제작한 목재 그림들은 점차 그것의 무용함과 불가능함으로 향했다. 목재 위에 천을 덮어 그 표면을 다시 그리는 무용함 속에서, 그 이후를 찾는 것이 나에게는 중요했다. 나는 로르샤흐 잉크 반점 검사*에 사용되는 얼룩 이미지들이 갖고 있는 형태적 우연함과 자의성, 적극적으로 열린 해석과 같은 요소들이 내가 이해하는 이미지의 속성을 은유하는 일종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기며 색, 형태, 그리는 방식 등의 영역에서 변주를 시도하며 목표하는 대상이 부재한, 얼핏 목재를 닮은 그림들을 그리게 되었고 확장해 다른 대상들도 일부 다루게 되었다.
일식은 내가 회화를 인식하는 태도와 유사점이 많은 현상 중 하나다. 이 둘은 각종 믿음이 투영된 역사를 갖고 있으며, 그 절묘한 시각적 일치가 태양과 달의 395배 크기 차이와 지구로부터 395배 거리 차이에 의한 우연이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오랜 믿음이 붕괴한 이후에도 일식이 관측되는 시기에 우리는 곳곳에서 눈을 보호할 무언가를 갖고 밖으로 나와, 같은 방향으로 하늘을 평소보다 열심히 바라본다.
구름을 어떤 모양으로 그려도 거대한 시간 단위에서는 정확히 그 모양이 있는 것처럼, 시공간이 무한하다면 이 형태들은 정말 어딘가에 존재했거나 존재할 것이다.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헤르만 로르샤흐가 고안한 인격진단검사로 피험자가 좌우 대칭의 얼룩을 보며 무엇을 얼마나 빠르게 읽어내고, 또 무엇에 방해받는지 등 이미지를 해석하는 경로를 종합적으로 추적해 심리상태를 파악하는 검사다.
구 태승
If one understands paradox as an idle spin with infinite exits that offer no definite answers, then the process by which these crafted wooden images both acquire and betray objecthood is like leaping off a carousel playground ride. Neither the one turning the stage nor the one riding it decides the direction after facing the paradox — it is the rotation itself that determines where one goes next.
Like Borges’ story about the one-to-one scale map in “On the Exactitude in Science,” these wooden paintings made to correspond precisely to particular objects gradually led toward their own futility and impossibility. Wrapped in futility — covering the wood with cloth and repainting its surface — what lay beyond this act became crucial for me. I saw the inkblot shapes used in Rorschach inkblot tests* — with their formal randomness and arbitrariness, their actively open interpretations — as a kind of breakthrough, metaphorically reflecting the nature of images as I understand them. This brought me to experiment with variations in color, form, and technique, creating paintings that resemble wood but lack a concrete referent, and eventually expanding to incorporate other subjects.
A solar eclipse is one of the phenomena closely related to my attitude toward painting. Both carry histories steeped in various beliefs. We know that their exquisite visual coincidence is a chance occurrence resulting from the sun being about 395 times larger than the moon and the earth being about 395 times farther from the sun than from the moon. Even after ancient beliefs have crumbled, during an eclipse people still come outside with eye protection, looking intently at the sky in the same direction.
Just as any shape painted on clouds seems exactly to exist over vast units of time, if space and time are infinite, then these shapes must have existed or must exist somewhere.
*The Rorschach inkblot test, devised by Swiss psychiatrist Hermann Rorschach, is a personality assessment in which the subject views symmetrical inkblots and their responses—such as what they perceive, how quickly they interpret the images, and what distracts them—are comprehensively analyzed to trace the pathway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hereby assess their psychological state.
Ku Taeseung